전체 글 3

복잡도 (Complexity)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복잡도는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와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로 나눌 수 있다.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입력 크기에 대해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를 나타내며 주로 “빅오 표기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공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얼마나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며 주로 “빅오 표기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의 복잡도는 시간복잡도를 의미한다. 최선의 경우 (Best Case) - Big-Ω(빅-오메가) 최적의 입력을 한 상태에서, 작업을 완료하는 데 가장 연산 횟수가 적은 경우 최악의 경우 (Worst Case) - Big-O(빅-오) 최악의 입력을 한 상태에서, 작업을 완료하는 데 가장 연..

CS/Algorithm 2023.11.20

[번역] React re-renders guide: everything, all at once

이 게시물은 React re-renders guide: everything, all at once을 한글로 옮긴 글입니다. 리액트에서의 리렌더링이란? 리액트의 성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가 주의해야 할 두 가지 주요 단계가 있습니다: 초기 렌더링 - 컴포넌트가 화면에 처음 나타날 때 발생합니다. 리렌더링 - 이미 화면에 있는 컴포넌트의 두 번째 및 그 이후의 렌더링입니다. 리렌더링은 리액트가 새 데이터로 앱을 업데이트해야 할 때 발생합니다. 보통 사용자가 앱과 상호 작용하거나 비동기 요청을 통해 외부 데이터가 들어오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비동적인 앱에서는 어떠한 비동기 데이터 업데이트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리렌더링이 절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리렌더링 성능 최적화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 ..

React 2023.10.10